간단하고맛있게

공매도는 영어로 숏셀링,줄어서 숏이라고한다.

주가하락시킬타겟을 정해서 종목의 주식을 미리빌려서 팔고 나중에 실제로 주가가 내려가면 싼값에 다시 사들여서 빌린 주식을 갚으므로 차익을남기는 투자기법이다.

사람들이 공매도에 대해서 많이 착각하는 이유가 주식과 반대로 가기 때문이다. 흔히 싸게사서 비싸게 팔아야 수익을 낼수있는 일반주식과는 다르게 공매도는 매수후 매도하는 일반거래와 반대이다.

우선 비싸게 팔고나서 나중에 싸게 사서 갚는 방식으로 수익을 내는것이다. 쉽게 가격이 떨어지면 돈을 버는 것이다.

구조가 어떻게 되냐면 삼성전자의 주식의 가격이 100만원인데 내려갈것 같으니깐 삼성전자 주식을 빌려서 팔면 현금이 100만원이 되는것이다.

 

이후에 삼성전자의 주식가격이 50만원이 하락하였을떄 a주식을 산다면 현금 50+삼성전자 주식이남는다.

그리고 빌렸던 삼성전자 주식을 갚으면 최종적으로 현금 50만원이 남는셈이다.

공매도는 매도와 매입사이에서 자산가격이 떨어질수록 수익이 커지지만 자산가격이 음수가 될수없기 떄문에 기대수익은 100%미만이다.

반면 자산가격의 상한선은 없기 떄문에 기대손실이 무한대이다.

주식 가격이 계속 오르면 자신이 사다 갚아야할돈은 계속늘어나기 때문이다. 반대로 삼성전자의 공매도했던 100만원 주식이 1000만원이 되었따면 최종적으로 현금은 -900만원이 되는것이다.

삼성전자는 예로들어서 설명한것이고 이글과의 주가는 무관하다. 공매도는 하락장에서 수익을 낼수있는 주요방법인데 하락장에서는 인버스 말고는 거의 수익을 낼수있는 방법이 없다.

 

공매도의 종류는?

공매도의 종류는 크게 2가지가 있다. 대차거래와 대주거래가 있다.

대차거래는 증권사가 자산운용사나 투자자 문사에 주식을 빌려주는것으로 증권사가 자사고객을 통해 조달할수없는 경우 한국 예탁 결제원 또는 한국증권금융을 이용하는 기관간 거래이며 보통 억대 단위 금액이 오고 간다.

또한 여기에는 대차거래 참가대상에 자본시장법에 따른 전문 투자자도 포함되는데 2016년 현재 자본시장법 시행령 제 10조에서는 50억이상의 금융 투자 상품 잔고보유,계좌 개설후 1년이상지날것, 관련 자료 제출로부터 2년 내일것등을 전문 투자자의 조건을 들고있다. 쉽게 50억 이상의 자산가라면 대차거래를 할수 있다.

자금력이 되는 투자자들이 참여하는것만큼 대주거래보다 오래 주식을 빌릴수있는 경우가 많은데 단위는 3~6개월 연장할수 있다.

대주거래 (stock loan)

증권사가 개인에게 주식을 빌려주는것 개미들도 할수 있다.다만 인지도부족,높은 이자율 ,대주 물량부족등 이유로 성행하지 않을뿐이다.

사실 대주거래는 개별 증권사가 담당하므로 당연히 물량이 적다. 증권사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상환 기한이 대차거래보다 꽤 짧다.

현재 한국 주식 시장에서의 공매도는 원칙적으로 차입공매도이며 크게 위에 2종류이다.

 

 

0123456789

공매도의 장점은?

 

공매도의 장점은 주식시장의 효율성이 늘어난다고 볼수있다. 일반적인 생각이지만 당연히 단점과 장점이 공존한다.

주식은 매수세와 매도세의 균형으로 이루어지는데 주식을 사는데는 아무런 제약이 없으므로 주가가 상승할것이라고 믿는 투자자의 의견은 제대로 반영되기 힘들다.

왜냐하면 이 경우 주식을 파는것이 가능한 사람은 기존에 주식을 소유하고 있는 사람으로 제한되기 때문이다.

주가가 하락할것이라고 믿는 사람들은 이미 그 주식을 팔았을것이며 공매도가 불가능하기 떄문에 기존의 주식을 소유하지 않은 투자가들은 그주식이 현저하게 고평가되었거나 사업 전망이 나쁘다는 생각을 하여도 이를 주가에 반영시킬방법이 없다.

따라서 공매도가 없는 시장에서는 필연적으로 주식 가격이 본래 가치보다 고평가 받는 버블이 형성된다.

당장은 피해가 없는것으로 보이지만 이런버블은 언젠간 꺼지게 되고 그 과정에서 돈이 생산적인 곳에 쓰이지 못하는 기회비용과 폭탄돌리기의 막차를 탄 사람들의 고통이 야기된다.

공매도는 이러한 가격 거품 발생을 방지하여 주가를 실제 가치에 수렴시키는데 도움을 준다고 볼수있다.

 

 

공매도의 단점

주식을 빌리고 나중에 다시 갚는 과정이 포함되는만큼 채무불이행 리스크가 있다. 자칫 잘못해서 주가가 막무가내로 올라가버리면 재대로 망하게 된다.

또한 공매도는 어떻게든 주가를 떨어트려야하기 떄문에 어떻게든 기업 가치에 영향을 줄 나쁜 소문이나 루머 불리한 사실을 의도적으로 무차별적으로 유포해 수익을 낼수있어 도덕적 문제가 있다고는 할수 있다.

미국에서는 초소한의 팩트는 수집한다음 기업 상태 파악해서 공매도로 날려버리는 치밀한 사전준비를 하는 혜지펀드가 일부는 있지만 대다수의 공매도를 시도하는 혜지펀드들은 아주 집요하게 대중들을 패닉셀로 유도하는 악재들을 융단폭격으로 퍼부어 어떻게든 팔게 만드는 기업들도 많다.

이 과정에서 정말 문제가 있는 기업은 차라리 드러나는게 나을수도 있지만 상당수가 일반 투자자들은 전혀 알수없는 내부자 정보의 유출이 뒤따르게 된다.

이런 기업은 설사 그때 공매도에서 회사를 지켜도 투자자와의 신용이 깨저 내상을 매우 크게 입는다. 2016년 한미약품 공매도 같은 사례가 대표적으로 공시같은건 기본에 물론 미리 매수한후 차후에 좋은 소식이 있다고 정보를 흘리는것도 시셍 조종이므로 단순히 선거래 후정보공개 부분만 봐서는 공매도가 더 나쁘다고는 볼수없다.

 

사실 공매도의 문제점보다는 인식에 따라서 다르게 볼수있다. 공매도에 대하여 부정적인 시선을 거의 개재하지 않으며 무조건적인 음호로 일관하든것 또한 공매도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최악으로 만들고 있다고 볼수있다.

하다못해 왜 공매도에 대한 여론이 부정적인지 그리고 공매도에 대한 오해가 어떤게 있는지에 대한 분석조차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있다.

공매도로 이득을 볼수있는건 대부분의 경우 기관이기 때문에 개인투자자들은 오히려 인식이 더 안좋아지는것 같다.

 

반응형